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마리 퀴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마리 퀴리는 1867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태어난 과학자이다. 본명은 마리아 살로메아 스쿼도프스카로, 파리 유학 후 피에르 퀴리와 결혼하여 소르본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수학 학위를 취득했다. 1898년 피치블렌드에서 폴로늄과 라듐을 발견하고, 방사능 연구를 통해 1903년 노벨 물리학상, 19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동식 방사선 촬영 장치를 개발하여 부상병 치료에 헌신했으며, 말년에는 방사능 노출로 인해 1934년 재생불량성 빈혈로 사망했다. 여성 최초로 노벨상을 수상하고, 두 분야에서 노벨상을 받은 유일한 인물이며, 과학 기술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자력 사고의 피폭자 - 이렌 졸리오퀴리
    마리 퀴리의 딸인 이렌 졸리오퀴리는 남편 프레데리크 졸리오와 함께 인공 방사능을 발견하여 1935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하고, 파시즘 반대, 레지스탕스 운동 참여, 프랑스 원자력 위원회 활동, 여성 권리 확대 및 교육 장려에 기여한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이다.
  • 원자력 사고의 피폭자 - 루이스 슬로틴
    루이스 슬로틴은 캐나다 출신으로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핵무기 개발에 기여한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였으나, 임계 실험 중 사고로 다량의 방사선에 노출되어 사망했으며 핵반응도 단위인 '달러'라는 용어를 처음 제안했다.
  • 핵화학자 - 프리츠 슈트라스만
    프리츠 슈트라스만은 독일의 화학자이자 대학교수로, 오토 한과 함께 우라늄 핵분열을 발견하고 방사성 연대 측정법 개발에 기여했으며, 나치 정권에 저항하며 인도주의적인 면모를 보였다.
  • 핵화학자 - 이렌 졸리오퀴리
    마리 퀴리의 딸인 이렌 졸리오퀴리는 남편 프레데리크 졸리오와 함께 인공 방사능을 발견하여 1935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하고, 파시즘 반대, 레지스탕스 운동 참여, 프랑스 원자력 위원회 활동, 여성 권리 확대 및 교육 장려에 기여한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이다.
마리 퀴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20년대경 퀴리 부인
1920년대경 퀴리 부인
본명마리아 살로메아 스크워도프스카
출생일1867년 11월 7일
출생지바르샤바, 폴란드, 러시아 제국
사망일1934년 7월 4일
사망지파시, 오트사부아, 론알프, 프랑스 제3공화국
사망 원인재생불량성 빈혈
국적프랑스 (1895년–1934년)
배우자피에르 퀴리 (1895년 결혼, 1906년 사별)
자녀이렌 졸리오퀴리
에브 퀴리
아버지브와디스와프 스크워도프스키
친척유제프 스크워도프스키 (할아버지)
브로니스와바 드우스카 (여동생)
헬레나 스크워도프스카-살라이 (여동생)
유제프 보구스키 (사촌)
가족스크워도프스키 가문 (출생)
퀴리 가문 (결혼)
서명
학력 및 경력
모교파리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제목Recherches sur les substances radioactives (방사성 물질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년도1903년
박사 지도 교수가브리엘 리프만
박사 제자앙드레 루이 드비에른
지오아치노 파일라
라디슬라스 골드스타인
에밀 앙리오
이렌 졸리오퀴리
오스카 모레노
마르그리트 페레이
프란시스 페린
근무 기관파리 대학교
퀴리 연구소 (파리)
고등사범학교 (파리)
프랑스 의학 아카데미
국제 지적 협력 위원회
연구 분야 및 업적
주요 연구 분야물리학
화학
주요 업적방사능 연구 개척
폴로늄라듐 발견
수상 내역
수상데이비 메달 (1903년)
노벨 물리학상 (1903년)
마테우치 메달 (1904년)
액토니언 상 (1907년)
엘리엇 크레슨 메달 (1909년)
앨버트 메달 (왕립 예술 협회) (1910년)
노벨 화학상 (1911년)
윌러드 깁스 상 (1921년)
존 스콧 메달 (1921년)
에든버러 대학교 치료학 캐머런 상 (1931년)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

별칭마담 퀴리

2. 생애

왼쪽부터 마리아, 아버지 브와디스와프, 브로니스와바, 헬레나


마리 퀴리는 1867년 11월 7일, 바르샤바에서 교육자 집안의 1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 브와디스와프 스크워도프스키는 장학사였고 어머니 브로니스와바는 중학교 교사였다. 그녀는 10세 때 어머니를 폐결핵으로 여의고 아버지가 실직하는 등 어려운 어린 시절을 보냈다. 큰언니 조피아 역시 티푸스로 일찍 세상을 떠났다.[168][169][170]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마리아(왼쪽)와 언니 브로니스와바, 1886년경


마리의 생가. 바르샤바 신시가지에 있으며, 1967년부터 마리아 스쿼도프스카-퀴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농공박물관의 실험실. 1890년부터 1891년까지 마리가 처음으로 과학 실험을 했던 장소.


마리 퀴리(본명: Maria Salomea Skłodowska|마리아 살로메아 스크워도프스카pl[53])는 1867년 11월 7일, 당시 러시아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폴란드 입헌 왕국의 수도 바르샤바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블라디스와프 스크워도프스키(Władysław Skłodowski)는 하급 귀족 출신으로 수학과 물리 교사였으며, 바르샤바의 김나지움(중등학교) 두 곳의 교장을 역임했다.[54] 어머니 브로니스와바 보구스카(Bronisława Boguska) 역시 하급 귀족 출신으로, 바르샤바의 명문 여자 기숙학교 교장이었다.[54][56] 마리아는 1남 4녀 중 막내였으며, 형제자매로는 언니 조피아(Zofia, 1862년생)[168], 브로니스와바(Bronisława, 1865년생)[169], 헬레나(Helena, 1866년생)[170]와 오빠 유제프(Józef, 1863년생)가 있었다.[7] 마리아는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4살 때 언니의 책을 읽을 수 있었고 뛰어난 기억력을 보였다.[56]

마리아의 어린 시절은 순탄치 않았다. 당시 폴란드분할되어 러시아 제국의 통치 아래 있었으며, 1월 봉기(1863-1865) 등 폴란드 독립을 위한 민족 운동에 참여했던 외가와 친가는 재산과 지위를 잃었다. 이러한 배경은 마리아와 형제자매들의 삶에 어려움을 더했다. 아버지 브와디스와프는 폴란드 민족주의적 성향 때문에 러시아인 상관들에게 실직당하고 낮은 급여의 자리로 옮겨야 했으며, 나쁜 투자로 재산을 잃기도 했다. 결국 가족은 생계를 위해 하숙을 쳐야 했다. 마리아가 10살이던 1878년 5월, 어머니 브로니스와바가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났고, 그로부터 3년이 채 되지 않아 큰언니 조피아가 하숙생에게 옮은 티푸스로 사망했다.[56]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어머니와 언니의 연이은 죽음은 어린 마리아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이후 그녀는 가톨릭 신앙을 버리고 불가지론적 사고를 갖게 되었다.[57][58]

러시아의 지배 하에서 폴란드 전통인 폴란드어와 역사 교육은 억압받았다. 마리아가 다닌 여학교에서는 러시아 장학사가 방문하면 폴란드어와 역사 수업을 숨기고 다른 수업을 하는 척해야 했다. 러시아 당국은 폴란드 학생들에게 러시아어로 주님의 기도를 외우게 하는 등 민족말살정책을 강요하며 식민지배에 순응하도록 압박했다. 이러한 억압적인 환경은 마리아의 민족의식과 사회 참여 의식을 키우는 배경이 되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마리아는 학업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았다. 10살 때 J. 시코르스카(J. Sikorska)의 기숙학교에 입학했고, 이후 여자 김나지움(gymnasium)을 다니며 1883년 6월 12일, 15세의 나이로 금메달을 받으며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59] 졸업 후 우울증으로 추정되는 신경 쇠약을 겪은 마리아는 아버지의 권유로 1년간 시골 친척 집에서 휴식을 취했다.[60]

바르샤바로 돌아온 마리아는 가정교사 등으로 일하며 학업을 이어가고자 했지만, 당시 여성에게는 정규 고등 교육 기관 입학이 허용되지 않았다.[60] 이에 마리아는 언니 브로니스와바와 함께 폴란드 민족주의자들이 비밀리에 운영하며 여성들에게 고등 교육 기회를 제공하던 비행 대학교(Flying University, 때로는 '떠돌이 대학'으로 번역됨)에 참여했다.[62]

언니 브로니스와바는 파리에서 의학을 공부하기를 원했고, 마리아는 언니의 학비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대신 브로니스와바가 학업을 마친 후 마리아의 파리 유학을 돕기로 했다.[62][63] 1885년부터 마리아는 바르샤바와 슈추키(Szczuki)의 지주 집안인 조라프스키(Żorawskis) 가문에서 가정교사로 일하며 돈을 벌었다.[62] 슈추키에서 일하는 동안, 그녀는 그 집안의 아들이자 훗날 저명한 수학자가 되는 카지미에시 조라프스키(Kazimierz Żorawski)와 사랑에 빠졌다.[64] 그러나 카지미에시의 부모는 가난한 가정교사와의 결혼을 반대했고, 카지미에시는 부모의 뜻을 거역하지 못했다.[65] 이별은 두 사람 모두에게 상처를 남겼다. 마리아는 실의에 빠진 채 계약 기간을 마치고[64][66] 발트해 연안 소포트의 다른 가정에서 1년간 더 가정교사로 일했다.[67]

1890년 초, 파리에서 의사 카지미에시 득루스키(Kazimierz Dłuski)와 결혼한 언니 브로니스와바는 마리아에게 파리로 와 함께 살자고 제안했다.[67] 하지만 마리아는 아직 대학 등록금을 마련하지 못했고 카지미에시와의 관계를 정리하지 못했기에 제안을 거절했다.[67] 그녀는 바르샤바로 돌아와 가정교사 일을 계속하며 틈틈이 독학하고, 비행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또한 1890년부터 1891년까지 바르샤바 올드타운 근처 크라코프스키에 프셰드미예시체(Krakowskie Przedmieście) 66번지에 위치한 산업 및 농업 박물관(Museum of Industry and Agriculture)의 화학 실험실에서 과학 실험 기술을 익히며 실제적인 과학 훈련을 받았다. 이 실험실은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의 조수였던 사촌 유제프 보구스키(Józef Boguski)가 운영하고 있었다.

1891년 가을, 자코파네에서 카지미에시 조라프스키와 마지막 만남을 가졌지만, 관계 개선의 희망이 없음을 확인한 마리아는 마침내 프랑스 유학을 결심했다.[67] 아버지의 도움과 그동안 모은 돈으로 학비를 마련한 그녀는 1891년 말, 폴란드를 떠나 파리로 향했다.

2. 2. 파리 유학과 피에르 퀴리와의 만남

폴란드독일 등지에서는 여성이 대학에 들어갈 수 없었기 때문에, 마리는 성 차별이 없는 프랑스 유학을 결심했다. 그러나 학비가 부족하여 바로 가지 못하고 가정교사 등으로 일하며 학비를 마련했다. 아버지가 직업을 얻어 경제적 여유가 생기자, 1891년 언니 브로니스와바와 형부 카지미에시 드우스키 부부가 의사로 일하고 있던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떠나 언니 부부의 돌봄을 받았다.

1891년 말, 파리의 소르본 대학교에 입학하여 등록 용지에 이름을 프랑스식인 '마리'로 적고 물리학, 화학, 수학을 공부했다.[70] 처음에는 언니 부부의 집에 머물렀으나, 학업에 집중하기 위해 곧 대학 근처 라틴 지구(Latin Quarter)의 다락방(garret)을 얻어 이사했다.[70][72] 마리는 빈약한 생활비로 근근이 살아가며, 추운 겨울에는 가지고 있는 옷을 모두 껴입고 잠을 자야 했고, 공부에 너무 몰두한 나머지 식사를 거르기도 했다.[71][73] 낮에는 공부하고 저녁에는 과외를 하며 간신히 생계를 유지했다. 이러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학업에 매진하여 1893년 물리학 학사 학위를 우수한 성적으로 취득했고,[73] 장학금의 도움으로 1894년에는 두 번째 학위를 받았다.

학위 취득 후, 마리는 국가 산업 진흥 협회(Society for the Encouragement of National Industry)의 의뢰로 여러 종류의 강철자기적 성질을 조사하는 연구를 시작했다.[73] 그러나 연구를 진행할 적절한 공간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때 폴란드 물리학자 요제프 비에루슈-코발스키가 마리의 사정을 듣고 1894년 프랑스 과학자 피에르 퀴리를 소개해 주었다.[71][75] 당시 피에르는 파리 시립 공업 물리화학 고등 교육 기관(ESPCI Paris)의 강사였으며,[76] 자연 과학에 대한 공통된 관심사가 두 사람을 이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피에르 퀴리(Pierre Curie)


피에르 퀴리는 자기장 연구 등에서 이미 성과를 거둔 유능한 과학자였으나, 세속적인 성공이나 명예에는 큰 관심이 없었고 연구에만 몰두하는 성격이었다.[75][76] 그는 마리의 뛰어난 지성과 과학에 대한 열정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75][79] 과학에 대한 공통된 열정은 그들을 빠르게 가깝게 만들었다. 피에르는 마리에게 청혼했지만, 마리는 고국 폴란드로 돌아가 교육을 통해 조국에 기여하고자 하는 계획 때문에 처음에는 그의 청혼을 받아들이지 않았다.[75]

1894년 여름, 마리는 학업을 마치고 바르샤바로 돌아가 가족을 방문했다. 그녀는 폴란드에서 자신의 전공 분야에서 일자리를 얻기를 희망했지만, 크라쿠프 대학교 등 당시 폴란드 학계의 학계의 성차별 때문에 여성을 고용하려 하지 않아 자리를 얻지 못했다.[82] 한편, 피에르는 마리에게 계속 편지를 보내 파리로 돌아와 박사 학위를 받도록 설득했으며, 만약 마리가 폴란드에 남는다면 자신도 폴란드로 가서 프랑스어를 가르치며 함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75] 결국 피에르의 진심에 마리는 파리로 돌아갈 것을 결심했고, 그의 청혼을 수락했다.[75][81] 피에르 역시 마리의 격려에 힘입어 자기장 연구를 정리하여 1895년 3월 박사 학위를 받고 ESPCI의 교수로 승진했다.

피에르 퀴리(Pierre Curie)와 마리 스크워도프스카-퀴리(Marie Skłodowska-Curie), 1895년


1895년 7월 26일, 마리와 피에르는 파리 근교 (Sceaux, Hauts-de-Seine)에서 결혼식을 올렸다.[9] 두 사람은 종교적 의식을 원치 않아 간소하게 민사 예식으로 치렀다. 마리는 웨딩드레스 대신, 이후 수년간 실험실에서 입게 될 짙은 감색 의상을 입었다. 결혼 축의금으로 자전거 두 대를 구입하여 프랑스 시골을 여행하는 신혼여행을 떠났으며, 자전거 여행은 부부의 공통된 취미가 되었다.[75][81] 이 결혼을 통해 마리는 새로운 사랑과 인생의 동반자이자, 서로에게 의지할 수 있는 든든한 과학적 동료를 얻었다.[82]

2. 3. 방사능 연구와 노벨상 수상

1896년 앙리 베크렐이 우라늄 염에서 방사선이 방출되는 현상을 발견한 후, 마리 퀴리는 이를 박사 학위 논문 주제로 삼았다. 그녀는 남편 피에르 퀴리와 그의 형제가 개발한 전위계를 이용하여 우라늄 화합물의 방사능이 함유된 우라늄 양에만 비례한다는 것을 알아냈고, 이 방사선이 분자의 상호작용이 아닌 원자 자체에서 나오는 현상이라는 중요한 가설을 세웠다. 이는 원자가 나눌 수 없다는 기존의 가정을 반증하는 중요한 단계였다.

마리는 자연계에 우라늄 외에도 방사선을 방출하는 물질이 더 있을 것이라 믿고 체계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1898년까지 토륨 역시 방사성을 띤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우라늄 광물인 피치블렌드와 토베르나이트가 순수한 우라늄보다 더 강한 방사능을 방출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이 광물 안에 미지의 강력한 방사성 원소가 존재할 것이라고 추론했다. 연구의 중요성을 인지한 남편 피에르 퀴리도 1898년 중반부터 자신의 연구를 중단하고 마리의 연구에 합류했다. 리드는 연구 아이디어가 전적으로 마리 자신의 것이었으며, 남편의 의견을 구하기는 했지만 명백히 자신의 독창적인 작업임을 밝혔다고 기록했다. 이는 그녀의 경력 초기에 이미 여성이 독창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믿기 어려워하는 과학자들이 많을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일 수 있다.

피에르 퀴리와 마리 퀴리, 파리의 연구실에서, 1907년 이전


퀴리 부부는 공동 연구를 통해 1898년 7월, 마리의 조국 폴란드를 기려 '폴로늄'이라 명명한 새로운 원소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1] 같은 해 12월 26일에는 '광선'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이름을 딴 '라듐'의 존재를 발표했다.[12] 이 과정에서 그들은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방사능(radioactivity)'이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었다.

피치블렌드에서 폴로늄과 라듐을 순수한 형태로 분리하는 작업은 매우 어려웠다. 특히 라듐은 화학적으로 유사한 바륨과 함께 존재하여 분리가 까다로웠다. 퀴리 부부는 재결정 방법을 반복하여 1902년 마침내 1톤의 피치블렌드에서 0.1그램의 염화라듐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1910년 마리 퀴리는 순수한 금속 라듐을 분리해냈다.

1903년 노벨 물리학상 증서


1903년 12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는 앙리 베크렐이 발견한 방사선 현상에 대한 공동 연구의 공로를 인정하여 마리 퀴리, 피에르 퀴리, 앙리 베크렐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했다.[14] 초기 위원회는 피에르와 베크렐만을 수상자로 고려했으나, 여성 과학자를 옹호했던 스웨덴 수학자이자 위원회 위원인 마그누스 괴스타 미타그-레플러가 피에르에게 이를 알렸고, 피에르의 항의 후 마리의 이름이 후보에 포함되었다. 이로써 마리 퀴리는 노벨상을 수상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퀴리 부부는 연구 일정과 피에르의 건강 문제로 시상식에 즉시 참석하지 못하고 1905년스톡홀름을 방문하여 수상 강연을 했다.

1906년 4월 19일, 남편 피에르 퀴리가 마차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이후 마리는 소르본 대학교에서 남편의 교수직을 이어받아 강의를 시작했으며, 이는 소르본 대학 최초의 여성 교수가 된 사례였다. 그녀는 남편을 기리기 위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소 설립을 목표로 연구를 계속했다.

1911년 노벨 화학상 증서


1910년 순수 라듐 분리에 성공한 데 이어, 1911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는 마리 퀴리에게 노벨 화학상을 단독으로 수여했다. 수상 이유는 "라듐 및 폴로늄의 발견, 라듐의 분리, 그리고 이 주목할 만한 원소의 성질과 화합물 연구를 통한 화학 발전에 대한 공로"였다. 이 시기 마리는 물리학자 폴 랑주뱅과의 스캔들로 인해 언론의 공격을 받았으나, 노벨 위원회의 시상식 불참 권유에도 불구하고 "상은 폴로늄과 라듐 발견에 대한 것이며, 과학적 연구와 사생활은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며 당당히 시상식에 참석했다.

이 수상으로 마리 퀴리는 노벨상을 두 번 수상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으며, 서로 다른 두 과학 분야(물리학, 화학)에서 수상한 유일한 인물로 기록되었다 (라이너스 폴링과 함께 최다 수상 기록 보유).[176] 그녀의 공적을 기려 방사능 단위에 '퀴리'라는 이름이 사용되었고, 화학 원소 퀴륨(Cm)에도 그녀의 이름이 붙여졌다. 마리 퀴리의 딸 부부인 이렌 졸리오퀴리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도 노벨 화학상 수상자가 되었다.

2. 4.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이동식 X선 차량 옆의 마리 퀴리, 1915년경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마리 퀴리는 부상당한 병사들이 가능한 한 빨리 수술을 받는 것이 생존에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16] 그녀는 외과 의사들을 돕고 불필요한 사지 절단을 막기 위해 전선 근처에 야전 방사선 센터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를 위해 방사선학, 해부학, 자동차 정비 등을 빠르게 익힌 후, X선 장비, 차량, 보조 발전기를 마련하여 이동식 방사선촬영 장치인 petites Curies|프티 퀴리프랑스어("작은 퀴리들")를 개발했다.

퀴리는 적십자사 방사선과의 책임자가 되어, 1914년 말까지 프랑스 최초의 군사 방사선 센터를 설립하고 운영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군의관들과 당시 17세였던 딸 이렌의 도움을 받아, 전쟁 첫 해 동안 20대의 이동식 방사선 차량과 야전 병원에 200대의 방사선 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을 지휘했다. 이후에는 다른 여성들을 조수로 훈련시켜 활동을 확장했다.

1915년에는 자신이 보유한 라듐에서 나오는 방사성 기체(라돈으로 후에 밝혀짐)를 이용한 치료법도 개발했다. 이 기체를 속이 빈 바늘에 넣어 감염된 조직을 살균하는 데 사용했으며, 이를 위해 자신이 가진 1g의 라듐을 기꺼이 제공했다. 퀴리가 개발하고 운영한 X선 장치를 통해 100만 명이 넘는 부상병들이 치료받은 것으로 추산된다. 이러한 구호 활동에 전념하느라 이 기간 동안 과학 연구는 거의 수행하지 못했다. 그러나 프랑스 전쟁 노력에 대한 이러한 막대한 인도주의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퀴리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어떠한 공식적인 표창이나 인정을 받지 못했다.

전쟁이 시작되자 퀴리는 자신의 노벨상 금메달을 전쟁 자금으로 기증하려 했으나, 프랑스 중앙은행은 이를 거부했다. 대신 그녀는 노벨상 상금으로 전쟁 채권을 구입하여 전쟁 노력을 지원했다. 당시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 나는 내가 가지고 있는 작은 금을 내놓을 것이다. 나는 여기에 과학 메달을 추가할 것이다. 그것은 나에게 아무런 소용이 없다. 다른 것도 있다. 게으름 때문에 나는 두 번째 노벨상 상금을 스웨덴 크로나로 스톡홀름에 남겨두었다. 이것이 우리가 소유한 주요 부분이다. 나는 그것을 여기로 가져와 전쟁 대출에 투자하고 싶다. 국가가 그것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나는 환상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 돈은 아마도 없어질 것이다.[16]

퀴리는 또한 프랑스 내 폴란드인 단체 중 폴란드의 독립과 대의에 헌신하는 위원회의 일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전쟁이 끝난 후, 그녀는 자신의 전시 경험을 정리하여 1919년에 《La Radiologie et la Guerre|전쟁에서의 방사선학프랑스어》이라는 책으로 출간했다.

2. 5. 말년과 죽음

퀴리 부부는 오랫동안 방사성 물질을 연구하면서 보호장구 없이 라듐을 다루고 라돈 가스를 들이마시는 등 핵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었다.[174] 이로 인해 손의 지문이 닳아 없어질 정도였으며, 마리 퀴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X-선에도 추가적으로 노출되어 건강이 더욱 악화되었다.

1920년, 라듐 발견 25주년을 맞아 프랑스 정부는 마리 퀴리에게 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이는 1895년 사망한 루이 파스퇴르 이후 처음이었다. 1921년, 퀴리는 라듐 연구 자금을 모으기 위해 미국을 순회했는데, 언론인 마리 매팅리 멜로니가 "마리 퀴리 라듐 기금"을 조성하고 홍보를 도왔다. 같은 해 미국 대통령 워런 G. 하딩은 백악관에서 퀴리를 접견하고 미국에서 모금된 라듐 1그램을 전달했다. 이 방문을 앞두고 프랑스 정부는 그녀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하려 했으나, 퀴리는 이를 거절했다. 1922년에는 프랑스 의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벨기에, 브라질, 스페인, 체코슬로바키아 등지를 방문하여 강연했다.

마리와 딸 이렌, 1925년


퀴리가 이끌던 라듐 연구소는 딸 이렌 조리오 퀴리와 사위 프레데리크 조리오 퀴리를 포함해 노벨상 수상자 4명을 더 배출하며, 캐번디시 연구소, 빈 라듐 연구소, 카이저 빌헬름 화학 연구소와 함께 세계적인 방사능 연구 기관으로 성장했다.

1922년 8월, 퀴리는 새로 창설된 국제연맹 산하 국제 지적 협력 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어[20] 1934년까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헨드릭 로렌츠, 앙리 베르그송 등 저명한 학자들과 함께 활동했다.[21] 1923년에는 남편 피에르 퀴리에 대한 전기 "피에르 퀴리"를 출간했고, 1925년에는 폴란드를 방문하여 바르샤바 라듐 연구소 기공식에 참석했다. 1929년 두 번째 미국 순회를 통해 바르샤바 라듐 연구소에 필요한 라듐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 연구소는 1932년 개소하여 언니 브로니스와바가 소장을 맡았다. 이러한 대외 활동과 대중의 관심은 퀴리에게 부담을 주기도 했지만, 연구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1930년에는 국제 원자량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사망할 때까지 활동했고,[22] 1931년에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치료학 분야의 캐머런 상을 받았다.[23]

계속된 연구와 방사능 노출로 인해 1923년경부터 퀴리의 건강은 눈에 띄게 나빠지기 시작했다. 만성적인 근육통, 이명, 난청, 백내장, 손가락 마비, 빈혈, 피로감, 호흡기 질환 등에 시달렸다. 비슷한 시기, 라듐 성분이 든 페인트로 작업하던 여성 노동자들이 사망하면서 라듐의 위험성이 사회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결국 건강 악화로 연구 활동을 지속하기 어려워진 퀴리는 1934년 5월 스위스 상셀모즈 요양소에 입소했으나, 같은 해 7월 4일 과도한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골수암, 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6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처음에는 파리 외곽에 있는 남편 피에르 퀴리의 묘 옆에 안장되었다.

그녀가 남긴 연구 노트는 라듐 발견 당시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 지하에 납으로 차폐되어 보관 중이다. 1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약 120 kBq 수준의 방사선을 방출하고 있어 직접 만질 수 없다. 이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직후 인근 해역에서 잡힌 생선에서 검출된 방사선량의 5,000배가 넘는 수치이다.

사후 61년 만인 1995년 4월, 프랑스 정부는 그녀의 과학적 공로를 인정하여 여성 최초로 팡테옹에 안장하는 영예를 부여했다. 팡테옹은 프랑스를 빛낸 위인들만 안장되는 곳이다. 남편 피에르 퀴리와 함께 이장하는 과정에서 그녀의 유해에서 상당량의 방사선이 검출되어, 으로 특수 제작된 관에 넣어 안장하는 절차를 거쳤다.

3. 주요 업적

1896년 남편 피에르 퀴리와 결혼한 직후, 마리 퀴리는 박사학위 논문 주제를 찾던 중 앙리 베크렐이 발견한 우라늄염의 베크렐선 현상에 주목했다.[172][173] 그녀는 자연계에 우라늄 외에도 유사한 현상을 보이는 물질이 더 있을 것이라 믿고, 이를 찾는 연구를 시작했다. 특히 '피치블렌드(역청우라늄광)'라는 광물이 순수한 우라늄보다 더 강한 방사능을 방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피치블렌드의 성분을 분리하는 실험에 착수했다.

이후 남편 피에르 퀴리와 공동 연구를 진행하며[174], 지루하고 긴 실험 끝에 1898년 우라늄보다 감광작용이 4배 강한 새로운 물질을 찾아냈다. 이 물질이 두 가지 원소의 혼합물임을 밝히고, 그중 하나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이 새로운 원소는 우라늄염보다 약 400배 강한 감광작용을 보였다. 퀴리 부부는 이 원소의 이름을 마리의 조국 폴란드를 기리는 의미에서 ‘폴로늄’(Polonium, Po)이라고 명명했다. 마리는 우라늄이나 폴로늄처럼 자연계에서 감광작용, 전리작용, 형광작용을 나타내는 물질들에 대해 처음으로 방사능(radioactivity)이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이들 물질에서 나오는 빛을 방사선(radiation)이라고 불렀다.

폴로늄 발견 이후, 퀴리 부부는 또 다른 새로운 원소 연구를 계속하여, 우라늄보다 무려 250만 배나 강한 감광작용 능력을 가진 원소를 발견했다. 이 원소에는 강력한 빛을 ‘방사’한다는 뜻으로 ‘라듐’(Radium, Ra)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라듐은 화학적으로 바륨과 성질이 비슷하고 광석에 함께 포함되어 있어 분리가 어려웠다.[99] 1898년 우라늄 광석인 피치블렌드에서 염화바륨에 소량 섞인 형태로 염화라듐을 처음 분리∙발견했고, 1902년에는 8톤의 폐우라늄 광석을 처리하여 마침내 0.1g의 순수한 염화라듐 결정을 얻었다.[96] 마리는 정제 과정에서 시험관과 증발접시에서 나오는 "요정 같은 빛"을 보며 희망을 잃지 않았다.[89] 1910년에는 마리 퀴리가 염화라듐을 전기분해하여 금속 라듐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퀴리 부부는 라듐의 성질을 자세히 조사하여, 그 방사능이 화학 반응 등 외부 조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라듐의 양에 비례해 방사선이 강해지고, 방사선 방출 과정에서 상당한 열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당시까지 알려진 화학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었다. 마리는 이러한 현상이 물질의 기본 단위인 분자 수준이 아니라, 더 작은 단위인 원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현상임을 밝혀냄으로써, 원자물리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100] 그녀의 연구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고, 어니스트 러더퍼드 등이 원자 구조를 밝히는 연구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다.[96]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마리 퀴리는 1903년 남편 피에르 퀴리와 함께 라듐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이후 1907년 라듐 원자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데 성공했고, 1910년 금속 라듐 분리에 이어 1911년에는 라듐 및 폴로늄 발견과 라듐의 성질 및 화합물 연구에 대한 공로로 단독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마리 퀴리는 여성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이자,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모두 수상한 유일한 인물이 되었으며, 라이너스 폴링과 함께 노벨상을 2회 수상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176] 그녀의 공적을 기려 방사능의 단위는 '퀴리(Ci)'로, 원소기호 96번 화학 원소는 '퀴륨(Cm)'으로 명명되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마리 퀴리


한편, 1900년 독일의 연구자들이 방사선이 생물 조직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고하자, 피에르 퀴리는 직접 라듐을 자신의 팔에 붙여 화상과 유사한 손상을 확인했다. 이후 의학 교수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라듐 방사선이 세포를 파괴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피부 질환이나 악성 종양 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이는 이후 퀴리 요법(방사선 치료)으로 발전하는 기초가 되었다.[100]

퀴리 부부는 라듐 정제법에 대한 특허를 취득하지 않고 모든 과정을 공개했다.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결정이었으나, 덕분에 다른 과학자들이 자유롭게 라듐을 연구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관련 분야의 발전을 크게 촉진했다.[102] 마리는 특허를 내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인생 최대의 보상은 지적 활동 그 자체"라고 답하며 과학 연구의 순수성을 강조했다.[104]

로버트 리드는 피치블렌드 연구에서 두 가지 새로운 원소 발견에 이른 아이디어가 마리 퀴리만의 독창적인 것이었다고 평가했다.[149] 그녀는 연구 과정에서 여성이라는 점, 폴란드 출신이라는 점 등 여러 차별과 어려움에 직면했지만[177], 이를 극복하고 과학사에 길이 남을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에는 실패했지만[177], 그녀의 연구는 물리학, 화학뿐 아니라 의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시대를 앞서간 여성 과학자로서 후대에 큰 영감을 주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그녀가 얻은 명예에도 불구하고 겸손함을 잃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4. 사회적 영향

루블린의 마리 퀴리 기념비


퀴리 부부의 연구는 물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20세기와 21세기 세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코넬 대학교의 L. 피어스 윌리엄스 교수는 퀴리 부부 연구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퀴리 부부의 연구 결과는 시대를 초월하는 것이었습니다. 라듐의 방사능은 너무 강력해서 무시할 수 없었습니다. 그것은 에너지 보존 법칙에 모순되는 것처럼 보였고, 따라서 물리학의 기초를 재고해야 했습니다. 실험적 수준에서 라듐의 발견은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같은 사람들에게 원자의 구조를 조사할 수 있는 방사능의 원천을 제공했습니다. 러더퍼드의 알파 방사선 실험 결과, 핵 원자가 처음으로 가정되었습니다. 의학 분야에서 라듐의 방사능은 암을 성공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졌습니다.


퀴리의 연구는 물리학과 화학의 기존 이론에 도전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정직함과 검소한 생활 방식으로도 유명했다. 1893년에 받은 소액의 장학금을 1897년 스스로 생계를 꾸릴 수 있게 되자마자 돌려주었으며, 첫 노벨상 상금의 대부분을 친구, 가족, 학생, 연구 동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결정으로, 퀴리는 과학계 전체가 자유롭게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라듐 분리 과정에 대한 특허를 의도적으로 포기했다. 그녀는 금전적인 선물이나 상을 받더라도 자신이 속한 과학 기관에 기부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고, 부부는 종종 상과 메달 수상을 거절하기도 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마리 퀴리가 명성에 의해 타락하지 않은 유일한 사람일 것이라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1. 여성 과학자의 역할 모델

학문의 세계에서 20세기 초는 아직 여성에 대한 편견이 존재하던 시대였다. 폴란드러시아의 지배를 받던 시절, 마리 퀴리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정규 고등 교육을 받기 어려웠고, 폴란드어역사 공부조차 억압받았다.[171] 바르샤바 대학교는 남학생만 받아들였기에, 마리는 성 차별이 덜한 프랑스 유학을 꿈꿨다. 학비를 벌기 위해 가정교사로 일하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학업의 꿈을 키웠다.

1891년 파리소르본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물리학을 전공, 뛰어난 성적으로 졸업하며 학문에 대한 열정과 능력을 증명했다. 그러나 프랑스 사회 역시 여성 과학자에 대한 편견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190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후보 추천 과정에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는 의도적으로 마리를 제외하려 했으나, 스웨덴 과학 아카데미의 수학자 괴스타 미타크-레플러의 강력한 주장으로 남편 피에르 퀴리, 앙리 베크렐과 공동 수상자로 이름을 올릴 수 있었다.[148] 이는 당시 학계에 만연했던 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각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마리 퀴리는 여성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이며,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모두 수상한 유일한 인물이다. 또한 두 번의 노벨상을 수상하고, 여러 과학 분야에서 수상한 유일한 인물이기도 하다.[176] 이러한 독보적인 업적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보수적인 분위기와 가십을 즐기는 언론의 공세, 외국인(폴란드 출신)이라는 점, 그리고 여성이라는 성차별적 문제로 인해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는 끝내 선출되지 못했다.[177]

이러한 부당한 대우 속에서도 마리 퀴리는 과학자의 업적은 성별이나 출신, 사생활이 아닌 오직 연구 결과로 평가받아야 한다는 강한 신념을 지켰다. 그녀는 남편 피에르 퀴리와의 공동 연구에서도 각자의 기여를 명확히 구분하여 강조했으며, 피에르 역시 이를 존중했다.[148] 두 번째 노벨상 수상 기념 강연에서는 이러한 신념을 당당하게 밝히며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21] 흔히 불리는 "Madame Curie|마담 퀴리프랑스어"라는 호칭 역시, 남편에게 종속된 존재로서가 아니라 스스로 선택한 이름으로서 자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75]

마리 스쿼도프스카-퀴리 흉상, CERN 박물관, 스위스, 2015


마리 퀴리는 연구 활동 외에도 교육에 헌신했다. 세브르 여자사범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많은 여성 후학을 양성했고, 딸 이렌의 교육을 위해 동료 학자들과 함께 기존의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체험 중심의 '공동 수업'이라는 대안학교를 운영하기도 했다.[112] 이는 교육자로서의 면모와 함께 교육 개혁에 대한 고민을 보여준다.

역사상 가장 유명한 과학자 중 한 명인 마리 퀴리는 과학계의 아이콘이자 시대를 앞서간 여성으로서 전 세계적인 존경과 찬사를 받았다. 그녀의 삶과 업적은 수많은 여성들에게 과학자의 꿈을 심어주고, 과학 분야의 성 평등을 촉진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마리 퀴리는 단순한 과학자를 넘어, 역경을 딛고 자신의 길을 개척한 여성 선구자로서 오늘날까지도 중요한 역할 모델로 평가받는다.

마리 퀴리의 업적과 영향력을 기리는 다양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연도상 이름비고
1903년노벨 물리학상남편 피에르 퀴리, 앙리 베크렐과 공동 수상
1903년데이비 메달피에르 퀴리와 공동 수상
1904년마테우치 메달피에르 퀴리와 공동 수상
1907년액토니언 상[28]
1909년엘리엇 크레슨 메달
1911년노벨 화학상단독 수상
1921년프랭클린 메달 (미국철학회)
2018년백수리 훈장사후 추서[31]



구분명칭비고
과학 단위 및 원소퀴리 (Ci)방사능 단위, 피에르 퀴리와 공동 기념
퀴륨 (Cm)원자 번호 96번 원소
퀴라이트, 스클로도브스카이트, 쿠프로스클로도브스카이트방사성 광물
기관 및 장소마리 퀴리 액션유럽 연합 연구 프로그램[32]
파리 지하철 피에르 앤 마리 퀴리역파리 지하철역
핵반응로 마리아폴란드 연구용 원자로
7000 퀴리소행성
마리 퀴리 자선단체영국 자선단체[33]
IEEE 마리 스클로도브스카-퀴리 상IEEE 수여 국제상[34]
마리 퀴리 메달폴란드 화학회 수여 과학상[35]
마리 퀴리-스클로도브스카 메달 및 상영국 물리학 연구소 수여 상[36]
마리아 퀴리-스클로도브스카 대학교폴란드 루블린 소재 대학교[37]
피에르와 마리 퀴리 대학교파리 소재 대학교 (현 소르본 대학교 일부)
마리아 스클로도브스카-퀴리 국립 종양 연구소폴란드 연구소
학교리세 마리 퀴리 등 다수캐나다, 미국, 베트남, 스위스 등



구분제목연도/작가/감독 등비고
전기마담 퀴리1938년, 이브 퀴리딸이 쓴 전기
마리 퀴리: 일생1987년, 프랑수아즈 지루
마리 퀴리: 일생1996년, 수잔 퀸
집착하는 천재: 마리 퀴리의 내면 세계2005년, 바바라 골드스미스
방사성: 마리와 피에르 퀴리, 사랑과 낙진의 이야기2011년, 로렌 레드니스2019년 영화화
마리 퀴리의 원소들: 라듐의 빛이 과학계 여성들에게 길을 밝혀주다2024년, 다바 소벨[10]
영화마담 퀴리1943년, 머빈 르로이 감독그리어 가르손 주연
레 팜 드 므시외 슈츠1997년, 클로드 피노토 감독이자벨 위페르가 마리 퀴리 역
마리 퀴리, 윈 팜 쉬르 르 프롱2014년, 알랭 브뤼나르 감독프랑스-벨기에 합작
마리 퀴리: 지식의 용기2016년, 마리 누엘 감독유럽 합작
슈퍼 사이언스 프렌즈2016년, 브렛 주빈빌 제작미국 인터넷 애니메이션 시리즈
방사성2019년, 마르잔 사트라피 감독로자먼드 파이크 주연
연극 및 뮤지컬잘못된 가정2013년, 로렌스 아로노비치[38]
마냐: 마리 퀴리의 생생한 역사수전 메리 프론트차크1인극[39]
마리 퀴리2018년한국 창작 뮤지컬, 해외 공연[40]
화폐 및 우표우표-전 세계 600종 이상 발행[41][42]
지폐폴란드 20,000 즈워티, 기념 20 즈워티[43][44], 프랑스 500 프랑[45]
동전프랑스 50 유로센트 동전[46]


4. 2. 과학 기술의 윤리적 문제 제기

마리 퀴리가 살던 시대에는 방사능의 위험성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당시에는 방사능 물질인 라듐이 미용은 물론 정신장애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근거 없는 위험한 선전이 퍼져나가면서, 많은 사람들이 방사능에 노출되어 목숨을 잃기도 했다. 심지어 화장품에 라듐이 들어있다고 광고하면 제품이 잘 팔릴 정도였다.

그러나 점차 방사능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마리 퀴리의 라듐 연구소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일본의 연구원 야마다 노부오는 1923년부터 약 2년 반 동안 연구소에서 일하며 5편의 논문을 발표했지만, 원인 불명의 건강 악화로 귀국한 뒤 다음 해에 사망했다. 마리는 이 소식을 듣고 조의를 표하는 편지를 보냈다.[133] 또한, 1925년 1월에는 다른 전 연구원이 재생불량성 빈혈로 사망했고, 개인 조수 역시 백혈병으로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이러한 비극적인 사건들과 방사능 노출 사이의 명확한 인과 관계를 밝히거나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하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경험들은 방사능 물질의 안전한 관리와 사용의 필요성을 일깨웠고, 과학 기술 발전과 함께 따르는 윤리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5. 한국과의 관계

마리 퀴리의 삶과 업적은 한국의 과학 교육 및 여성 과학자 양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여러 과학관 및 박물관에서는 마리 퀴리의 업적을 소개하고 있으며, 그의 이름을 딴 과학상도 제정되어 있다.

6. 유산과 평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연구소 운영은 재개되었지만, 설비와 시료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20년 로스차일드 가문의 자금 지원으로 방사선 치료 연구를 위한 퀴리 재단이 설립되었으나, 마리 퀴리가 중요하게 여겼던 물리학 및 화학 연구에는 예산이 거의 배정되지 않았다.[125]

같은 해 5월, 마리는 미국 여성 잡지 《The Delineator영어》 편집장 Marie Mattingly Meloney|마리 매팅리 멜로니영어와의 인터뷰에서 연구에 필요한 1그램의 라듐 금속을 갖고 싶다고 말했다. 당시 라듐 1그램의 가격은 5만달러에 달했지만, 미국의 우수한 연구 환경을 알고 있던 멜로니는 마리의 소박한 바람에 놀랐다. 멜로니는 미국으로 돌아가 마리 퀴리에게 라듐을 기증하기 위한 모금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125][129]

멜로니의 초청으로 1921년 5월, 마리는 두 딸과 함께 미국을 방문했다. 이 방문에는 여러 대학 방문과 더불어 미국 대통령과의 공식 행사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마리 퀴리의 국제적 명성을 뒤늦게 깨달은 프랑스 정부는 이전의 무관심을 만회하려는 듯 다시 레지옹 도뇌르 훈장 수여를 제안했지만, 마리는 과거와 같은 이유로 이를 거절했다. 마리는 연구 활동과 거리가 먼 이러한 홍보 활동을 달가워하지 않았으나, 방문하는 곳마다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5월 20일, 마리는 백악관에서 워런 G. 하딩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라듐 1그램을 전달받았다. 그러나 마리는 이 값비싼 선물을 개인적인 영광으로 여기지 않고 연구소를 위한 기증품으로 여겨 개인적으로 소유하지 않았다.[125][129]

이후 1929년, 마리는 다시 미국을 방문하여, 1925년 바르샤바에 여동생 브로니스와바 드우스카와 함께 설립한 라듐 연구소(현 마리아 스크워도프스카-퀴리 국립 종양 연구소)에 필요한 장비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25] 이러한 활동들은 마리 퀴리가 연구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과 함께, 과학 연구의 결과를 공익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던 책임감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서적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Radioactivity http://www2.lbl.gov/[...]
[3] 웹사이트 Marie Curie and the radioactivity, The 1903 Nobel Prize in Physics https://www.nobelpri[...]
[4] 문서 See her signature, "M. Skłodowska Curie", in the infobox.
[5] 문서 Her 1911 Nobel Prize in Chemistry was granted to "Marie Sklodowska Curie"
[6] Youtube The Genius of Marie Curie: The Woman Who Lit Up the World https://www.youtube.[...]
[7] 서적 The Age of Radiance: The Epic Rise and Dramatic Fall of the Atomic Era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16-01-24
[8] 서적 Prus: Śledztwo biograficzne Wydawnictwo Znak
[9] 웹사이트 Marie Curie http://janinetissot.[...] 2013-05-24
[10] 뉴스 The Elements of Marie Curie by Dava Sobel review – the great scientist who created her own school https://www.theguard[...] 2024-11-11
[11] 논문 Sur une substance nouvelle radio-active, contenue dans la pechblende https://www.academie[...] 1898-01-01
[12] 논문 Sur une nouvelle substance fortement radio-active, contenue dans la pechblende https://www.biodiver[...]
[13]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Gale 2013-06-03
[14] 웹사이트 ESPCI Paris: Prestige https://www.espci.fr[...] 2017-09-26
[15] 웹사이트 Marie Curie-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2018-03-16
[16] 논문 Marie Curie's contributions to radiology during World War I
[17] 잡지 The Film ''Radioactive'' Shows How Marie Curie Was a 'Woman of the Future' https://www.scientif[...] 2020-10-24
[18] 영화 Radioactive, the movie
[19] 서적 An intimate picture of Madame Curie, from diary notes covering a friendship of fifteen years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20] 논문 Analisi e visualizzazioni delle reti in storia. L'esempio della cooperazione intellettuale della Società delle Nazioni
[21] 서적 Les réseaux de la coopération intellectuelle. La Société des Nations comme actrice des échanges scientifiques et culturels dans l'entre-deux-guerres https://tel.archives[...] University of Lausanne 2018-10-27
[22] 논문 Atomic Weights and the International Committee: A Historical Review http://www.iupac.org[...] 2013-05-11
[23] 웹사이트 Maria Skłodowska-Curie http://www.europeana[...] 2020-03-05
[24] 웹사이트 Marie Curie profile National Stem Cell Foundation 2022-07-16
[25] 논문 X-rays, not radium, may have killed Curie 1995-09-14
[26] 웹사이트 These personal effects of 'the mother of modern physics' will be radioactive for another 1500 years https://www.business[...] 2015-08-24
[27] 웹사이트 Marie Curie's century-old radioactive notebook still requires lead box https://gizmodo.com/[...] 2017-09-09
[28] 논문 Scientific Notes and News https://zenodo.org/r[...] 2019-08-24
[29] 서적 The Lady Laureates. Women Who Have Won the Nobel Prize Scarecrow Press 1978-01-01
[30] 잡지 Marie Curie, científica universal http://www.revistala[...] 2023-11-16
[31] 웹사이트 Ordery Orła Białego przyznane pośmiertnie 25 wybitnym Polakom https://www.prezyden[...] 2023-11-16
[32] 웹사이트 Marie Curie Actions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2-09-10
[33] 웹사이트 Marie Curie https://register-of-[...] 2023-11-16
[34] 웹사이트 IEEE Marie Skłodowska–Curie Award https://corporate-aw[...] 2023-11-14
[35] 웹사이트 100 Years Polish Chemical Society https://www.chemistr[...] 2023-04-25
[36] 웹사이트 Silver Subject Medals and Prizes https://www.iop.org/[...] 2023-04-25
[37] 웹사이트 Biography of Maria Curie–Skłodowska https://www.umcs.pl/[...] 2023-11-16
[38] 뉴스 Mixing Science With Theatre http://www.ottawasun[...] Ottawa Sun 2013-03-00
[39] 웹사이트 This Famous Image of Marie Curie Isn't Marie Curie http://www.popsci.co[...] Popular Science www.popsci.com 2014-03-07
[40] 뉴스 Marie Curie review – musical dash through the scientist's life leaves your head spinning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06-10
[41] 웹사이트 What can postage stamps tell us about the history of nuclear physics? https://physicsworld[...] 2023-10-27
[42] 웹사이트 Marie Curie on stamps https://www.allabout[...] 2018-11-26
[43] 웹사이트 20,000 Złotych February 1, 1989 https://banknotedb.c[...]
[44] 웹사이트 NBP: Maria Skłodowska–Curie ponownie na banknocie https://dzieje.pl/ak[...] 2011-11-24
[45] 웹사이트 500 Francs – Pierre & Marie Curie type 1993 https://en.numista.c[...]
[46] 웹사이트 Veil, Baker and Curie: acclaimed women to appear on new French coins https://www.rfi.fr/e[...] 2024-03-10
[47] 웹사이트 The Elements of Marie Curie https://groveatlanti[...]
[48] 웹사이트 Book Review: 'The Elements of Marie Curie,' by Dava Sobel https://www.nytimes.[...] 2024-10-10
[49] 뉴스 The Elements of Marie Curie by Dava Sobel review – the great scientist who created her own schoo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11-11
[50] 웹사이트 失敗を恐れずに挑戦しよう! https://www.ing-scho[...] ING進学教室 2020-02-28
[51] 웹사이트 Nobel Laureate Facts http://nobelprize.or[...] 2010-12-10
[52] 문서 Robert (1974)、p.184
[53] 웹사이트 キュリー夫妻の業績と生涯 マリア・スクロドフスカとその時代 https://web.archive.[...] (株)医療科学社 月刊INNRRVISION 1998年4月号/財団法人 癌研究所 1998-00-00
[54] 문서 エーヴ (2006)、pp.19-34、マーニャ
[55] 문서 Robert (1974)、p.12
[56] 문서 ゴールドスミス (2005)、pp.14-24、第一章 マリを育てたもの
[57] 문서 エーヴ (2006)、pp.35-50、暗い日々
[58] 서적 Marie Curie Collins 1974-00-00
[59] 웹사이트 「NRPB Bulletin」最新号から http://wwwsoc.nii.ac[...] 国立情報研究所 学協会情報発信サービス 1998-00-00
[60] 문서 エーヴ (2006)、pp.51-72、少女時代
[61] 서적 Ze wspomnień... Nasza Księgarnia 1958-00-00
[62] 문서 エーヴ (2006)、pp.73-88、使命
[63] 서적 Autobiography
[64] 문서 ゴールドスミス (2005)、pp.25-36、第二章 どんなときも胸を張って
[65] 문서 エーヴ (2006)、pp.103-120、忍耐の日々
[66] 서적 Marie Curie: A Life Simon and Schuster 1995-00-00
[67] 문서 エーヴ (2006)、pp.121-135、脱出
[68] 문서 Robert (1974)、p.24
[69] 서적 量子のさいころ 量子力学歴史読本 https://books.google[...] シュプリンガー・フェアラーク東京 1996-00-00
[70] 문서 エーヴ (2006)、pp.139-153、パリ
[71] 서적 米沢 (2006) ポーランドからパリへ
[72] 서적 Robert (1974)
[73] 서적 エーヴ (2006) ひと月四十ルーブル
[74] 서적 エーヴ (2006)
[75] 서적 エーヴ (2006) ピエール・キュリー
[76] 서적 米沢 (2006) ピエール・キュリー
[77] 서적 エーヴ (2006)
[78] 서적 エーヴ (2006)
[79] 서적 ゴールドスミス (2005) 第四章 ピエール・キュリー
[80] 서적 L. Pearce Williams (1986)
[81] 웹사이트 キュリー夫妻の業績と生涯 ピエール・キュリーとの出会い https://web.archive.[...] (株)医療科学社 月刊INNRRVISION 1998年4月号/財団法人 癌研究所 2010-12-10
[82] 뉴스 Maria's Mazowsze Roots http://www.gwiazdapo[...] Gwiazda Polarna 2008-06-21
[83] 웹사이트 精密計測による新元素の発見 図7 http://www.jfcr.or.j[...] (株)医療科学社 月刊INNRRVISION 1998年4月号/財団法人 癌研究所 2010-12-10
[84] 서적 ゴールドスミス (2005) 第六章 前人未到のテーマ
[85] 서적 ゴールドスミス (2005) 第一四章 呼び覚まされない生命力
[86] 서적 エーヴ (2006) 新家庭
[87] 서적 エーヴ (2006) ラジウムの発見
[88] 논문 Marie Curie and the Science of Radioactivity http://www.aip.org/h[...] 2010-12-10
[89] 서적 パサコフ (2007) 至福のとき
[90] 서적 Robert (1974)
[91] 서적 Robert (1974)
[92] 서적 Robert (1974)
[93] 서적 Robert (1974)
[94] 서적 Robert (1974)
[95] 서적 エーヴ (2006) 倉庫での四年間
[96] 서적 L. Pearce Williams (1986)
[97] 서적 エーヴ (2006) 苦難続き
[98] 서적 エーヴ (2006)
[99] 서적 L. Pearce Williams (1986)
[100] 서적 エーヴ (2006) 博士論文と五分の話し合い
[101] 서적 パサコフ (2007) 有名になるということ
[102] 서적 Robert (1974)
[103] 웹사이트 Emile Armet de Lisle http://www.dissident[...]
[104] 서적 ビジュアル百科 世界史1200人 西東社
[105] 논문 The discovery of radium in 1898 by Maria Sklodowska-Curie (1867-1934) and Pierre Curie (1859-1906) with commentary on their life and times http://bjr.birjourna[...] 2010-12-10
[106] 서적 栄光という名の敵 2006
[107] 서적 undefined 2006
[108] 서적 ともにある日々 2006
[109] 웹사이트 欧米の化学博物館めぐり フランス(1) キュリー研究所 http://www.shinko-ke[...] 新興出版社啓林館 2010-12-10
[110] 서적 一九〇六年四月十九日 2006
[111] 서적 残酷な栄誉 2007
[112] 서적 ひとり 2006
[113] 서적 成功と試練 2006
[114] 웹사이트 curie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06-04-15
[115] 웹사이트 How the Curie Came to Be http://www.orau.org/[...] 2010-12-10
[116] 서적 undefined 2005
[117] 서적 重い病 2007
[118] 서적 undefined 2006, 2007
[119] 서적 科学アカデミー 2006
[120] 서적 Marie Curie
[121] 서적 2度目のノーベル賞 2006
[122] 서적 undefined 2005
[123] 서적 undefined 2001
[124] 서적 undefined 2001, 2007, 2006
[125] 서적 ふさわしい研究所 2007
[126] 서적 第一次世界大戦 2006
[127] 서적 野戦病院をかけめぐった日々 2007
[128] 웹사이트 キュリー夫人の死--100年目の真実 http://www.jfcr.or.j[...] (株)医療科学社 月刊INNRRVISION 1998年4月号/財団法人 癌研究所 2010-12-10
[129] 서적 アメリカ 2006
[130] 웹사이트 ユネスコのあゆみ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0-12-17
[131] 서적 東西相触れて たちばな出版 2002
[132] 서적 実験室 2006
[133] 웹사이트 私たちの教育改革通信 第95号 http://cert.kyokyo-u[...] 京都教育大学附属教育実践センター機構 2010-12-17
[134] 서적 使命の終わり 2006
[135] 서적 Marie Curie: Honesty In Science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4
[136] 웹사이트 Marie Curie - The Radium Institute (1919-1934) Part 3 http://www.aip.org/h[...]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11-11-07
[137] 서적 An Introduction to Physical Scienc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2
[138] 웹사이트 ノーベル賞学者マリ・キュリーの悲劇の真相・・「放射性物質を用いて実験を繰り返したことが原因」は大きな誤解!? すばらしい医学 https://diamond.jp/a[...] 株式会社ダイヤモンド社 2023-11-26
[139] 뉴스 A Glow in the Dark, and a Lesson in Scientific Peri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8-10-06
[140] 웹사이트 【怖すぎ】なぜキュリー夫人はノーベル賞授賞式を欠席したのか? <天才科学者の最期> https://www.miyabi-s[...] 株式会社 雅セレモニー 2023-11-26
[141] 웹사이트 Marie Curie and the perils in radium https://pubs.aip.org[...] PHYSICS TODAY 2024-08-16
[142] 뉴스 MME. CURIE WARNS OF PERILS IN RADIUM; Only Experts Should Use It, She Says at Cancer Society Dinner in Her Honor Here.TELLS OF WORK IN FRANCEShe Also Hails Progress Made inAmerica at Her Only Public Appearance in New York. https://www.nytimes.[...] 1929-11-01
[143] 서적 A Short History of Nearly Everything
[144] 웹사이트 クリニュー美術館 http://www.mukogawa-[...] 武庫川女子大学生活環境学科 2003-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있어서 임의로 1월 1일로 설정
[145] 간행물 Maria's Mazowsze Roots http://www.gwiazdapo[...] Gwiazda Polarna 2008-06-21
[146] 논문 Chemical and Polish Aspects of Polonium and Radium Discovery Przemysł chemiczny 1998-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있어서 임의로 1월 1일로 설정
[14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5
[148]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6
[149]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74
[150]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6
[151] 문서 마리 퀴리 외 2회 이상 노벨상 수상자 목록
[152] 웹사이트 Curie Mineral Data https://webmineral.c[...] Mineralogy Database
[153] 웹사이트 Sklodowskite Mineral Data https://webmineral.c[...] Mineralogy Database
[154] 웹사이트 Cuprosklodowskite Mineral Data https://webmineral.c[...] Mineralogy Database
[155] 웹사이트 Marie Curie on the 500 French Franc and 20000 old Polish zloty banknotes http://www-personal.[...]
[156] 웹사이트 Most inspirational woman scientist revealed http://www.newscient[...] 뉴 사이언티스트 2009-07-02
[157] 뉴스 Marie Curie voted greatest female scientist http://www.telegraph[...] www.telegraph.co.uk 2009-07-02
[158] 웹사이트 フランス パリ第6大学ピエール・マリー・キュリー http://www.bureau.to[...] 東北大学国際交流課
[159] 웹사이트 パリのメトロ7号線で探す観光ガイド http://www.hitoripar[...] パリ観光ガイドNana
[160] 웹사이트 Curie Metropolitan High School http://www.ibo.org/s[...] International Baccalaureate
[161] 웹사이트 Marie Curie Middle School 158 http://schools.nycen[...] 뉴욕시 교육청
[162] 웹사이트 Homepage http://www.mariecuri[...] Marie Curie
[163] 웹사이트 お茶の水女子大学NEWS&INFO http://www.ocha.ac.j[...] お茶の水女子大学 2006-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있어서 임의로 1월 1일로 설정
[164] 뉴스 キュリー博士に続け、女性研究者の賞を創設 ポーランド大使館も協力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1-10-05
[165] 웹사이트 あの日あの時みさきの歴史(3)キュリー祭 http://www.town.misa[...] 鳥取県三朝町役場
[166] 웹사이트 キュリー夫人の理科教室 http://pub.maruzen.c[...] 丸善出版事業部
[16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1
[168] 문서 마리 퀴리 애칭
[169] 문서 브로니아 애칭
[170] 문서 헬라 애칭
[171] 서적 내셔널 지오그래픽 세계위인전 푸름이닷컴
[172] 문서 퀴리 성씨
[173] 문서 이렌 졸리오퀴리와 이브 퀴리
[174] 웹인용 [칼럼] 방사선 계속 뿜어 나와…납으로 봉인한 마리 퀴리의 관 https://www.themedic[...] 2023-10-07
[175] 서적 퀴리부인 계몽사 1991
[176] 문서 적십자 국제위원회 수상
[177] 뉴스 폴 랑주뱅과의 연애관계 기사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